개발/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토픽 모음

유장군 2023. 10. 19. 16:14

[ Drag하면 정답 표시 ]

 

1.

전사적으로 구축된 데이터 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 DW )로부터 특정주체나 부서 중심으로 구축된 소규모 단일 주체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뜻하는 용어 [ 데이터마트( Data Mart, DM) ]

 

2.

프로그램 내부 구조를 기반으로 문장 검증, 경로 검증 등을 수행하고, 동작을 검사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 화이트박스 테스트( White-box test) ]

 

3.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요소나 그 이면에서 실행되는 로직을 서로 영향없이 쉽게 고칠 수 있는 패턴 [ MVC패턴 ]

 

4.

재해복구 계획의 원활한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확보하여 두는 인적,물적 자원 및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통합된 재해 복구 센터 [ DRS(Diaster Recovery System) ]

 

5.

비기술적인 해킹 중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여 신뢰를 얻어서 보안을 통과하여 정보를 빼가는 해킹 기법 [ 사회공학 ]

 

6.

EAI 구축 유형 중,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으로 허브 장애시 전체 장애 발생 [ 허브 앤 스포크( Hub-and-Spoke ) ]

 

7.

데이터의 변환, 압축, 암호화를 담당하는 계층 [ 표현계층 ]

 

8.

비즈니스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장애 혹은 업무중단 발생 시 어느 시점으로 백업할지를 결정하는 지표

[ RPO(목표 복구 시점) ]

 

9.

프로젝트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기법, 산출물 등을 비즈니스적으로 또는 기술적인 요구에 맞도록 최적화하는 과정 및 방법론 [ 테일러링(Tailoring) ]

 

10. 

암호화를 할 때 사용하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를 할때 사용하는 복호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으로 암호문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사용자는 사전에 암호화 키를 교환해야 하는 암호화 방식 [ 대칭키 암호화 기법

 

11.

데이터를 보호할 목적으로 일정한 시간이나 주기마다 데이터를 다른 안전한 장소에 복제하여 보관하는 행위 [ 백업(Backup) ]

 

12. 

장애나 재해 발생으로 인해  운영상의 주요 손실을 입을 것을 가정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영향도 및 손실평가를 조사하는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를 구축하기 위한 비즈니스 영향 분석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

 

13.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OPT(OPTimal replacement) ]

 

14.

데이터 패킷을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고,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Router) ]

 

15.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를 새로 설치했을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기능 [ Plug and Play(PnP) ]

 

16.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즉, 코딩, 디버그,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여러 개발자가 운영체제나 웹브라우저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시에 코드를 작성하거나 리뷰를 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17.데이터베이스의 분산된 물리적 환경에서 특정 지역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 장애 투명성(Failure Transparency) ]

 

18.사용자가 질의한 SQL문을 처리할 수 있는 실행계획을 탐색하고 각 실행계획에 대한 비용을 추정하여 최적의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DBMS의 핵심 엔진 [ 옵티마이저(Optimizer) ]

 

19.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 [ 응용계층 ]

 

20.프로그램들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등 컴퓨터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상주하면서 실행되는 것 [ 커널(Kernel) ]

 

21.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 지역성(Locality) ]

 

22.2015년 구글이 인수한 프로토타이핑 툴로 현재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구글 등 당양한 회사에서 사용하며, 모바일 개발자가 앱을 설계하고 프토토타입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모바일 앱 프로토타이핑에 최적화 되어 있고, 디테일한 인터랙션을 설정할 수 있는 도구 [ 픽사에이트( Pixate) ]

 

23.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하며,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 싱글톤패터(Singleton pattern) ]

 

24.구글이 2015년에 오픈소스로 공개한 기계학습 라이브러리로 머신러닝과 딥 뉴럴 네트워크 연구를 목적으로 Data flow graph를 사용하여 수치 연산을 하는 라이브러리 [ 텐서플로우(Tensor Flow) ]

 

25.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데이터 간의 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고, 이를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기업 의사결정에 활요하는 기술.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 세트에서 이상점(anomalies)과 패턴 및 상관 관계를 찾아내는 프로세스 [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

 

26.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정보를 지정하고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허가된 사용자의 허가된 범위 내에서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기술 [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

 

27.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형태로 SVN, Git 등 대부분의 형상 관리 도구와 연동이 가능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빌드 자동화 도구 [ Jenkins ]

 

28.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의 일부만 알고 수행하는 테스트로 블랙박스 테스트와 화이트 박스 테스트가 혼합된 방식 [ 그레이 박스 테스트(Gray-Box Testing) ]

 

29.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고 조이(Join)연산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평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DBMS [ NoSQL ]

 

30.다양한 미디어 포맷에 따라 각종 컨텐츠를 작성, 수집, 관리, 배급하는 콘텐츠 생산에서 활용,폐기까지 전 공급과정을 관리하는 기술 [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

 

31.제품과 시스템, 서비스 등을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지각과 반응, 행동 등의 총체적 경험 [ UX(User eXperience) ]

 

32.재해가 발생했을 시, 비상사태 또는 업무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가동 될때까지의 시간 [ RTO(목표복구시간) ]

 

33.단말기 사이(종단과 종단 사이)에서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 혼잡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세그먼트를 전달하는 계층 [ 전송계층 ]

 

34.멀티미디어 관련 요소 기술들이 통일된 형태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멀티미디어 표준 규격 [ MPEG-21 ]

 

35.인간의 실수 등을 통해 원래의 의도와 다르게 소프트웨어가 예정된 설계를 벗어나 발생하는 오류 [ 휴먼 에러 ]

 

36.

소프트웨어 취약점 및 취약점에 대한 범주 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이해하고 이러한 결함을 식별, 수정 및 방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도구를 작성하는 시스템 [ CWE(Common Weakness Enumeration): 공통 취약점 목록  ]

 

37.공개적으로 알려진 컴퓨터 보안 결함 목록, 보안 취약점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위한 표기 방법, 소프트웨어의 보안 약점을 사전식으로 분류해놓은 목록 [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 공통 취약점 및 익스포저 ]

 

38.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오류를 찾는 테스트로 소프트웨어의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음 [ 동적테스트 ]

 

39.

코드화 대상 항목의 성질, 즉 길이, 넓이, 부피, 높이 등의 물리적 수치를 그대로 코드에 적용시키는 방법 [ 표의 숫자 코드 ]

 

40.

QR코드르 통해 악성 앱의 다운로드를 유도하거나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는 금융 사기 기법의 하나로 QR코드와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낚는다의 합성 신조어 [ 큐싱(Qshing) ]

 

41.

데이터 액세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방법 [ 클러스터 ]

 

42.메모리가 공유되는 하나의 객체에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값을 변경하려고 할 때 발생되는 성능 저하의 문제점 [경쟁 조건(Race Condition) ]

 

43.하이퍼바이저(Hypervisor) 없이 리눅스 컨테이너(LXC) 기술을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가상화 솔루션 [ 도커(Docker) ]

 

44.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 [ 블록체인 ] 

 

45.피싱(Phishing)과 조작(Farming)의 합성어로, 악성프로그램에 감염된 PC를 조작하여 정상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금융거래정보를 빼낸 후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는 사기 수법이다.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웹 브라우저에서 정확한 웹 페이지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신종 인터넷 사기 수법 [ 파밍(Pharming) ]

 

46.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각 테스트 분산 환경에 데몬을 사용하여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통합하여 자동화하는 검증 도구 [ STAF(Software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

 

47.운영체제 상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명령어 해석기라고도 하며 사용자와 운영체제의 내부를 관리하는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 [ 쉘(Shell) ]

 

48.권한을 부여한 사용자 그룹이 또 다른 사용자 그룹에게 부여받은 권한을 재부여 하는 옵션 [ WITH GRANT OPTION ]

 

49.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듈의 수 [ Fan-Out ]

 

50.내부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으로 사내 직원이 사용하는 PC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행위를 탐지하고 통제해 사전 유출을 방지하는 것 [ DLP(Data Loss Prevention):데이터 유출 방지 ]

 

51.해커와 같이 일반적으로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접근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악성 소프트웨어의 모음. 불법적인 해킹에 사용되는 악의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도구로 해커가 시스템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네트워크상의 다른 시스템을 공격 또는 추적 회피를 위한 중간 지점으로 이용하더라도 로그를 지워버릴 수 있어 탐지하기 어려운 도구 [ 루트킷( rootkits) ]

 

52.Microsoft Windows 운영 체제에 포함되어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서버 2008,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8.1, 윈도우 10 운영 체제에 포함된 완전한 디스크 암호화 기능이다. 볼륨 전체에 암호화를 제공함으로써 자료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완전한 디스크 암호화 기능 [ 비트로커(BitLocker) ]

 

53.안전한 통신을 위해 양자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비밀키를 분배관리하는 기술.양자컴퓨터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비밀키를 나누어 갖는 키공유 프로토콜 중 하나 [ QKD( Quantum Key Distribution) : 양자키분배 ]

 

54.미국 GPS, 유럽 연합의 갈릴레오 위치결정 시스템과 같은 것으로 소비에트 연방이 개발하고 현재는 러시아 우주군이 운영하고 있는 전파 위성항법 시스템. 러시아가 미국에 대항해 자체 개발한 측위 시스템  [ 글로나스(GLONASS) ] 

 

55.프로젝트에서 책임과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독립적 성격을 갖지만 함께 편성되고 관리되는 테스트 활동의 그룹을 이르는 용어  [ 테스트레벨 ] 

 

56.조직의 내부적 혹은 외부적 위협이나 재해, 재난으로부터 조직의 자산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사고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직 기능과 업무가 중단됨 없이 지속될 수 있도록 세우는 제반 계획 [ BCP(Business Continuity Plan):업무연속성계획 ]

 

57.비연결성이고, 신뢰성이 없으며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비디오 재생 또는 DNS 조회와 같이 시간에 민감한 전송을 위해 인터넷을 통해 사용됩니다. 이 프로토콜의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는 공식적으로 연결이 설정되지 않으므로 통신 속도가 빠름 [ UDP(User Datagram Protocol):사용자데이타그램 프로토콜 ]

 

58.테스트 데이터 값들 간에 최소한 한번씩을 조합하는 방식이며, 이는 커버해야 할 기능적 범위를 모든 조합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테스트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테스트 기법 [ 페어와이즈 테스트(Pairwise test) ] 

 

59.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중 소프트웨어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평가 및 개선하는 국제 표준으로, 공식 명칭은 ISO/IEC 15504 [ SPIC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

 

60.논리적으로 분할된 스위치 네트워크나 가상 기능을 가진 LAN 스위치 또는 ATM 스위치를 사용해서 물리적인 배선에 구애받지 않고 브로드 캐스트 패킷이 전달되는 범위를 임의로 나누는 네트워크 기술. 가상 작업 그룹을 구현하기 위해 LAN 장치를 논리적으로(물리적으로 아님) 세그먼트로 나누는 새로운 데이터 교환 기술.  [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