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정리 [근대사회 발전기] - 개화기
흥선대원권
- 세도 정치와 붕당정치폐단 없앰(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비변사 축소, 의정부와 삼군부 부활,
법전편찬([대전회통][육전조례]), 서원정리(국가재정확충, 양반횡포근절),
경복궁중건(원납전 강제징수, 당백전남발)
- 삼정개혁 : 전정( 은결 색출, 토지겸병금지), 군정(호포제), 환곡(사창제)
병인양요
- 병인박해 : 수천명의 천주교도 처형(9명의 프랑스 신부 포함)
- 병인양요 : 프랑스침략(병인박해), 강화도 점령 ->한성근(문수산성) 양헌수(정족산성) 부대의 활약
-> 프랑스 군대 철수 , 문화재약탈(외규장각의 의궤)
신미양요
- 제너럴 셔먼호 사건(평양군민들의 격침) 구실로 미국이 통상요구 -> 거부 -> 미군부대 강화도 침입
->어재연의 활약(광성보전투) -> 미국군대철수, 어재연 부대의 '수'자기 약탈
강화도조약(조일 수호조규, 1876)
-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조약
- 조선의 자주국 명시, 부산 원산 인천 개항, 해안측량권 허용, 치외법권인정
- 조일 수호조규부록 : 개항장 내 일본 화폐 유통 허용, 일본인 개항장 활동 범위 제한(10리)
- 조일 무역규칙 : 일본상품에 대한 무관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 허용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 황 쭌셴의 [조선책략] 유포 -> 미국과의 수교 필요성 대두 -> 청의 알선으로 조약체결
- 치외법권 인정, 거중조정, 최혜국대우인정, 관세조항규정(낮은세율)->최초규정
- 영향 : 미국에 사절단파견(보빙사)
** 병인박해 -> 제너럴셔먼호사건 -> 병인양요 -> 오페르트도굴사건 -> 신미양요 ->척화비건립->강화도 조약
->조미통상조약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1882)
- 청의 조선에 대한 경제 침투 강화 목적(임오군란 계기)
- 치외법권, 내지통상권허용(청 상인의 내륙진출 허용)
- 영향 : 청과 일본상인간의 무역경쟁심화, 국내중간상인 활동위축(객주 여각 보부상 등)
조일 통상장정(1883)
-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북봐(조미통상조약 영향), 방곡령( 식량난 해소를 위해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명령 )시행,
일본에 대한 최혜국 대우 인정
개화정책
- 개항 전후 개화파 형성
: 온건개화파(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청의 양무운동을 모델로 점진적 개혁)
: 급진개화파(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일본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급진적 개혁)
- 관제개편 : 통리기무아문(개화정책추진총괄)과 12사설치
- 군제개편 : 2영체제(무위영 장어영) , 별기군창설
- 해외시찰단 파견 : 1차2차 수신사(일본), 조사 시찰단(일본, 비밀리), 영선사(청, 기기창설치계기), 보빙사(미국)
위정척사운동
- 위정(성리학 수호), 척사(성리학 이외의 사상배격)
- 전개과정 : 1860년대(이항로 주도, 통상반대운동 척화주전론)
1870년대(최익현, 왜양일체론 개항불가론 등 개항반대운동)
1880년대(이만손, [조선책략]유포 반발 , 영남만인소 등 개화반대)
1890년대(유인석, 항일의병운동으로 계승)
임오군란(1882)
-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 과정 : 구식 군인들의 선혜청 일본공사관 정부고관의 집 습격(명성황후 피신)->흥선대원권 재집권(개화정책중단)
-> 청의 군대파견 및 군란진압, 흥선대원권 압송(청일간 대립 초래)
- 결과 : 제물포조약(일본군대주둔), 청의내정간섭심화(군대주둔, 내정 외교 고문 파견), 조청 상민 수륙무역장정체결
갑신정변(1884)
- 새로운 정권수립 목적(민씨정권타도)
- 과정 :급진 개화파 정변(우정총국 개국 축하연 이용) -> 개화당정부수립, 14개조개혁정강발표(청에대한 사대관계폐지,
인민평등권확립, 재정의일원화 등)->3일만에 실패(청군개입)
- 결과 : 한성조약(일본과 체결), 톈진조약(청일 군대 동시 철수, 파병시 상호통보), 청의내정간섭강화, 청일 대립격화
동학농민운동(1894)
- 고부농민봉기 : 고부군수 조병갑의 포악한 정치 -> 관아점령(전봉준), 만석보 파괴-> 자진해산
- 제1차 동학농민봉기 : 안핵사 이용태의 농민군탄압 -> 무장봉기 -> 백산봉기(4대강령 격문발표) -> 황토현 전투
->황룡촌전투 -> 전주성 점령 -> 청의 파병 -> 일본군 파병(톈진조약)->전주화약
->집강소설치, 폐정개혁안추진(반외세, 반봉건->신분철폐 토지제도개혁),
정부의 교정청설치(개혁시도)
- 제2차 동학농민봉기 : 일본군의 경복궁 무력점령 -> 재봉기(삼례) -> 북접군(손병희) 남접군(전봉준) 논산집결
-> 우금치전투패배 -> 전봉준체포
갑오개혁(1894)
- 자주적 개혁착수(내적), 일본의 내정개혁 강요(외적)
- 제1차 갑오개혁 :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 제1차 김홍집내각수립 및 군국기무처설치 -> 개혁추진
('개국'연호, 왕실사무와 정부사무분리, 6조->8아문, 과거제폐지, 재정일원화, 은본위화폐제도, 공사노비제도폐지,
과부재가허용, 고문과 연좌법폐지)
- 제2차 갑오개혁 : 일본에서 박영효 귀국->군국기무처폐지, 제2차 김홍집내각성립 -> 홍범14조 반포(고종),
개혁(8아문->7부, 지방행정구역 23부로 개편, 지방관의 사법권 군사권폐지, 교육입국조서발표->한성사범학교)
을미개혁(1895)
- 청일전쟁 종결(시모노세키 조약)->러시아주도의 삼국간섭 ->친러내각수립 -> 을미사변 -> 을미개혁
- 연호(건양), 친위대(중앙), 진위대(지방) 설치, 단발령, 태양력사용, 종두법시행, 우체사설치
- 을미의병, 아관파천으로 개혁중단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선사 시대에서 - 조선 후기까지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