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기 시대
- 뗀석기 사용 : 주먹도끼(연천 전곡리에서 출토)
- 사냥, 채집, 동굴이나 막집거주, 이동생활, 평등사회(공동체 사회)
- 흥수아이(장례의식)
- 중석기시대(잔석기, 슴베찌르개 사용)
신석기 시대
- 간석기 사용, 빗살무늬 토기 사용
- 원시적 수공업(뼈바늘, 가락바퀴)
- 농경과 목축 시작, 정착생활(움집), 부족사회(평등한 공동체 사회)
- 원시신앙(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청동기시대
- 청동기사용(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 벼농사시작, 반달돌칼(곡식수확), 민무늬 미송리식 토기 사용
- 불평등사회(계급분화), 군장등장, 고인돌 제작
- 정복활동, 국가출현(고조선)
철기시대
- 철제농기구, 철제무기 사용, 거푸집(청동기 제작 틀) 제작
- 세형동검, 민무늬 검은 간토기 사용, 독무덤,널무덤
- 중국과 교류(중국화폐 출토, 한자사용)
고조선
- 단군왕검이 건국(기원전 2333년) : 선민사상, 제정일치사회
- 왕위세습(부왕, 준왕), 관직 설치(상, 대부, 장군 등), 연나라와 대립(진개의 침략), 8조법
- 비파형동검,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분포지역-> 고조선 세력 범위
- 위만조선: 위만의 이주(선진철기문화 유입). 중계무역(한과 진)
- 한 무제의 공격 -> 멸망
부여
- 5부족 연맹체(왕, 사출도), 왕권미약
- 농경과 목축 발달, 책 12법, 형사취수혼, 순장, 우제점법,
영고(12월): 공동체의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하나로서 풍성한 수확제 · 추수감사제 성격을 지니는 부여시대의 제천의식 , 1
고구려
- 5부족 연맹체, 대가(상가, 고추가 등), 관리(사자, 조의, 선인 등) 존재
- 제가회의, 동맹(10월:제천의식), 1책 12법
,서옥제(혼인하던 풍습으로 데릴사위제 가운데 하나), 형사취수혼, 부경(약탈곡식창고)
옥저
- 군장국가(읍군, 삼로),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무덤
동예
- 군장국가(읍군, 삼로), 무천(10월:제천행사), 족외혼, 책화,
특산품(단궁:박달나무로 만든 , 과하마:키가 작은 말, 반어피:바다표범의 가죽)
삼한
- 군장국가(신지,읍차 등), 제정분리(천군이 소도를 다스림)
- 벼농사 발달, 수릿날(5월) 계절제(10월)
- 마한(흙방), 진한, 변한(철 수출 -> 낙랑, 왜)
고구려의 성장
- 태조왕(1세기 후반) : 왕위세습(계루부고씨), 옥저복속
- 고국천왕(2세기후반) : 부자상속, 진대법 실시
- 미천왕(4세기 초) : 위나라의 칩입(3세기 중엽), 서안평 점령, 낙랑축출(대동강 이남까지 확보)
- 고국원왕(4세기중엽) : 국내성 함락, 근초고왕의 평양성 공격 -> 전사
- 소수림왕(4세기후반) : 불교수용(전진), 태학설치, 율령반포
- 광개토대왕 : 한강이북지역차지, 신라 도움(왜 격퇴), 후연정복, 연호(영락), 광개토대왕릉비(장수왕이 건립)
- 장수왕 : 남진정책(평양천도), 한강유역차지(한성함락)->충주고구려비, 경당설치(활,글쓰기 가르침)
백제의성장
- 고이왕(3세기) : 6좌평제, 16관등마련, 율령반포, 공복게정
- 근초고왕(4세기) : 부자상속, 마한정복, 평양성공격, 고흥의 [서기]편찬
- 침류왕(4세기말) : 불교수용(동진)
- 비유왕(5세기전반) : 나제동맹(신라 눌지왕)
- 문주왕 : 웅진천도
- 동성왕 : 신라와 혼인동맹
- 무령왕(6세기) : 중국남조와 교류, 지방에 22담로(성) 설치
- 성왕 : 사비천도(부여), 국호(남부여), 중앙에 22부, 한강하류 일시적 회복, 관산성전투->전사
신라의성장
- 내물왕(4세기후반) : 왕위계승권확립(김씨), '마립간'사용(칭호), 가양와 왜의 침입(광개토대왕 도움)
- 지증왕(6세기초) : 국호(신라), 왕호(왕), 우산국정복(이사부), 순장금지, 우경장려, 동시설치
- 법흥왕(6세기전반) : 연호(건원), 병부설치, 율령반포 및 관등정비, 불교공인(이차돈), 금관가야 병합
- 진흥왕(6세기중반) : 한강유역확보(상류 - 단양적성비, 하류-북한산순수비), 대가야정복,
함경도 지역진출(마운령비, 황초령비), 화랑도(국자조직, 세속오계규범), 거칠부 [국사]편찬
- 진평왕(7세기) : 원광에게 걸사표 짓게 함.
- 선덕여왕(7세기) : 첨성대 건립, 황룡사9층목탑건립(자장 건의)
가야의 성립과 발전
- 변한 땅에서 연맹왕국 형성
- 전기가야연맹 : 김해 금관가야, 우수한 철기문화(철 수출), 고구려공격(세력약화), 멸망(법흥왕)
- 후기가야연맹 : 고령의 대가야 중심, 진흥왕에 의해 멸망
고구려의 대외항쟁
- 6세기 말 이후 -> 남붑세력(고구려, 백제, 왜, 돌궐), 동서세력(신라, 수[당])
- 수양제 침입 : 살수대첩(을지문덕 승리)
- 당의 침입 : 천리장성축조(침략대비), 안시성싸움(연개소문 승리)
큰별쌤 최태성의 하루 한장 한국사 1: 선사~통일 신라와 발해(2023)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자격증 > 한능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정리 [근세사회 2] - 조선 (1) | 2024.02.12 |
---|---|
한국사 정리 [근세사회 1] - 조선 (1) | 2024.02.12 |
한국사 정리 [고대사회 ~ 중세사회] - 고려 (1) | 2024.02.12 |
한국사 정리 [선사시대~고대사회 3] - 통일신라/발해/후삼국 (0) | 2024.02.12 |
한국사 정리 [선사시대~고대사회 2] - 삼국공통정리 (0)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