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한능검

한국사 정리 [선사시대~고대사회 1] - 나라별 특징

구석기 시대

- 뗀석기 사용 : 주먹도끼(연천 전곡리에서 출토)

- 사냥, 채집, 동굴이나 막집거주, 이동생활, 평등사회(공동체 사회)

- 흥수아이(장례의식)

- 중석기시대(잔석기, 슴베찌르개 사용)

 

신석기 시대

- 간석기 사용, 빗살무늬 토기 사용

- 원시적 수공업(뼈바늘, 가락바퀴)

- 농경과 목축 시작, 정착생활(움집), 부족사회(평등한 공동체 사회)

- 원시신앙(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청동기시대

- 청동기사용(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 벼농사시작, 반달돌칼(곡식수확), 민무늬 미송리식 토기 사용

- 불평등사회(계급분화), 군장등장, 고인돌 제작

- 정복활동, 국가출현(고조선)

 

철기시대

- 철제농기구, 철제무기 사용, 거푸집(청동기 제작 틀) 제작

- 세형동검, 민무늬 검은 간토기 사용, 독무덤,널무덤

- 중국과 교류(중국화폐 출토, 한자사용)

 

고조선

- 단군왕검이 건국(기원전 2333년) : 선민사상, 제정일치사회

- 왕위세습(부왕, 준왕), 관직 설치(상, 대부, 장군 등), 연나라와 대립(진개의 침략), 8조법

- 비파형동검,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분포지역-> 고조선 세력 범위

- 위만조선: 위만의 이주(선진철기문화 유입). 중계무역(한과 진)

- 한 무제의 공격 -> 멸망

 

 

 

 

 

 

 

 

 

부여

- 5부족 연맹체(왕, 사출도), 왕권미약

- 농경과 목축 발달, 책 12법, 형사취수혼, 순장, 우제점법,

  영고(12월): 공동체의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하나로서 풍성한 수확제 · 추수감사제 성격을 지니는 부여시대의 제천의식 , 1

 

고구려

- 5부족 연맹체, 대가(상가, 고추가 등), 관리(사자, 조의, 선인 등) 존재

- 제가회의, 동맹(10월:제천의식), 1책 12법

  ,서옥제(혼인하던 풍습으로 데릴사위제 가운데 하나), 형사취수혼, 부경(약탈곡식창고)

 

 

옥저

- 군장국가(읍군, 삼로),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무덤

 

동예

- 군장국가(읍군, 삼로), 무천(10월:제천행사), 족외혼, 책화

  특산품(단궁:박달나무로 만든 , 과하마:키가 작은 말, 반어피:바다표범의 가죽)

 

삼한

- 군장국가(신지,읍차 등), 제정분리(천군소도를 다스림)

- 벼농사 발달, 수릿날(5월) 계절제(10월)

- 마한(흙방), 진한, 변한(철 수출 -> 낙랑, 왜)

 

 고구려의 성장

- 태조왕(1세기 후반) : 왕위세습(계루부고씨), 옥저복속

- 고국천왕(2세기후반) : 부자상속, 진대법 실시

- 미천왕(4세기 초) : 위나라의 칩입(3세기 중엽), 서안평 점령, 낙랑축출(대동강 이남까지 확보)

- 고국원왕(4세기중엽) : 국내성 함락, 근초고왕의 평양성 공격 -> 전사

- 소수림왕(4세기후반) : 불교수용(전진), 태학설치, 율령반포

- 광개토대왕 : 한강이북지역차지, 신라 도움(왜 격퇴), 후연정복, 연호(영락), 광개토대왕릉비(장수왕이 건립)

- 장수왕 : 남진정책(평양천도), 한강유역차지(한성함락)->충주고구려비, 경당설치(활,글쓰기 가르침)

 

백제의성장

- 고이왕(3세기) : 6좌평제, 16관등마련, 율령반포, 공복게정

- 근초고왕(4세기) : 부자상속, 마한정복, 평양성공격, 고흥의 [서기]편찬

- 침류왕(4세기말) : 불교수용(동진)

- 비유왕(5세기전반) : 나제동맹(신라 눌지왕)

- 문주왕 : 웅진천도

- 동성왕 : 신라와 혼인동맹

- 무령왕(6세기) : 중국남조와 교류, 지방에 22담로(성) 설치

- 성왕 : 사비천도(부여), 국호(남부여), 중앙에 22부, 한강하류 일시적 회복, 관산성전투->전사

 

신라의성장

- 내물왕(4세기후반) : 왕위계승권확립(김씨), '마립간'사용(칭호), 가양와 왜의 침입(광개토대왕 도움)

- 지증왕(6세기초) : 국호(신라), 왕호(왕), 우산국정복(이사부), 순장금지, 우경장려, 동시설치

- 법흥왕(6세기전반) : 연호(건원), 병부설치, 율령반포 및 관등정비, 불교공인(이차돈), 금관가야 병합

- 진흥왕(6세기중반) : 한강유역확보(상류 - 단양적성비, 하류-북한산순수비), 대가야정복,

                  함경도 지역진출(마운령비, 황초령비), 화랑도(국자조직, 세속오계규범), 거칠부 [국사]편찬

- 진평왕(7세기) : 원광에게 걸사표 짓게 함.

- 선덕여왕(7세기) : 첨성대 건립, 황룡사9층목탑건립(자장 건의)

 

가야의 성립과 발전

- 변한 땅에서 연맹왕국 형성

- 전기가야연맹 : 김해 금관가야, 우수한 철기문화(철 수출), 고구려공격(세력약화), 멸망(법흥왕)

- 후기가야연맹 : 고령의 대가야 중심, 진흥왕에 의해 멸망

 

고구려의 대외항쟁

- 6세기 말 이후 -> 남붑세력(고구려, 백제, 왜, 돌궐), 동서세력(신라, 수[당])

- 수양제 침입 : 살수대첩(을지문덕 승리)

- 당의 침입 : 천리장성축조(침략대비), 안시성싸움(연개소문 승리)

 

 

 

 

큰별쌤 최태성의 하루 한장 한국사 1: 선사~통일 신라와 발해(2023)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