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한능검

한국사 정리 [선사시대~고대사회 3] - 통일신라/발해/후삼국

통일신라의 발전

- 무열왕 : 최초의 진골 출신왕, 왕위세습확립(직계자손)

- 문무왕 : 삼국통일완성(나당전쟁 승리)

- 신문왕 : 김흠돌의 난 진압(귀족숙청), 9주5소경(지방), 군사조직(9서당10정), 관료전지급, 녹읍폐지,

                국학(유학교육기관)설립, 6두품세력강화

- 성덕왕 : 정전지급

- 경덕왕 : 명칭변경 : 중시->시중, 한화정책(중국식), 유교교육강화(국학->태학감), 녹읍부활

통일신라 통치체제

- 중앙정치제도 : 집사부의 기능 강화, 행정업무분답(위화부 등 13부)

- 유교정치이념수용 : 국학섭립, 독서삼품과실시(원성왕)->귀족들의 반발로 실패

- 9주5소경(수도편재성보완), 향 부곡설치, 상수리제도(지방세력통제), 외사정파견(지방관감찰), 9서당10정

 

발해의 발전

- 무왕(8세기전반) : 연호(인안), 영토확장(만주, 연해주), 당과 신라 견제, 장문휴의 당공격(산둥지방)

- 문왕(8세기후반) : 연호(대흥), 당 신라와 친선관계, 3성6부제 정비, 수도(중경->상경), 고구려와 부여계승표방(일본국서)

- 선왕(9세기전반) : 연호(건흥), 해동성국(최대영역확보), 5경 15부 62주 체제 완비

 

발해의 통치체제

- 중앙정치체제 : 3성6부, 중정대(관리감찰), 문적원(서적관리), 주자감(최고교육기관)

- 지방행정조직 : 5경15부62주

- 군사조직 : 중앙군(10위), 지방군(지방관이 지휘)

 

신라말의 혼란

- 왕위다툼 : 김헌창의 난(아버지의 왕위 쟁탈 실패), 장보고의 난(자신의 딸을 왕비로 실패)

- 지방민들의 봉기 : 원종과 애노의 난(귀족의 사치, 조세납부독촉에 반발), 적고적의 난

 

신라말의 새로운 세력 등장

- 6두품 : 새로운 정치이념제시(골품제 비판), 최치원의 시부책10여조, 호족들과 결탁

- 호족 : 성주나 장군으로 칭함, 지방의 실질적 지배권 행사, 반독립적 세력으로 성장,

             새로운 사회모색(6두품, 선종세력과 협력)

- 새로운 사상 유행 : 선종(실천과 수행 중시, 9산 성립), 풍수지리설(호족의 사상적 기반), 미륵신앙

 

후삼국의 성립

- 후백제 : 견훤, 완산주(전주), 중국(후당,오월)에 사신파견, 신라에 적대적(금성침입->경애왕살해)

- 후고구려: 궁예, 송악(개성), 도읍천도(철원), 국호변경(마진, 태봉), 관제개편, 미륵신앙을 이용한 전제정치

 

통일신라의 경제정책

- 수취제도 : 조세(10분의 1), 공물(특산물), 역(군역과 요역, 16~60세 남자)

- 민정문서 : 조세, 공물, 부역 징수의 근거, 촌주가 3년마다 작성, 가축 및 유실수, 호구 등

- 경제활동 : 울산항(이슬람상인과 교류), 신라방(당과 교류), 해상무역 전개(장보고, 청해진 설치)

 

발해의 경제정책

- 조세, 공물 부역

- 농업(밭농사중심) , 목축, 수렵(말, 모피 등이 주요 수출품), 도자기업 직물업 등 발달

- 대외무역 : 신라(신라도를 통한 교류), 당(발해관 설치), 일본과 친선관계 유지

 

통일신라의 문화

- 역사서, 유학 : 김대문(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강수(외교문서인 청방인문표 작성), 설총(이두정리, 화왕계),

                         최치원(토황소격문, 계원필경)

- 불교사상

   : 원효 - 대승기신론소(불교이해기준마련), 십문화쟁론(일심사상, 화쟁사상->종파통합), 아미타신앙, 무애가->불교대중화

   : 의상 - 화업일승법계도 -> 화엄사상(조화강조), 부석사 창건, 관음신앙(자비로 중생의 괴로움 구제)

   : 혜초 - 왕오천축국전 : 서역기행문

- 과학기술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석가탑에서 발견, 현존하는 세계 초고의 목판 인쇄물)

- 금속기술 : 성덕대왕신종

- 고분 : 굴식 돌방무덤(둘레돌에 12지신상 조각) -> 김유신 묘

- 건축과 탑 :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경주 감은사지 3층석탑, 경주 불국사 3층석탑(석가탑), 경주 불국사 다보탑,

                    승탑과 탑비 유행(선종의 영향)

불국사 다보탑

발해의 문화유산

- 고분 : 정혜공주묘(굴식돌방무덤, 모줄임천장구조), 정효공주묘(당 영향, 도교적, 벽화존재)

- 건축 : 상경성터(당의 장안성 모방, 주작대로)

- 탑 불상 : 이불병좌상, 영광탑

- 공예 : 발해석등, 돌사자상

 

 

 

[하나북]2024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기출 500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 2 3급) :2024 시험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